미국 월가 란?
본문 바로가기
경제 지식

미국 월가 란?

by 재롱 파월 2023. 5. 23.
728x90

1. 개요

월가 (Wall Street)

미국 뉴욕시 맨해튼 남부에 위치한 금융가. 미국의 뉴욕증권거래소, 나스닥과 거대 금융사, 투자은행 등의 대형 금융기관 기업들이 몰려있는 미국 금융시장의 중심이자 세계 금융시장의 핵심과도 같은 곳이다. 이 문서의 표제어는 '월가(街)'라고 적혀있지만 한국에서는 미국식으로 '월 스트리트'라고 더 많이 부른다.

 

1800년대 후반부터 미국의 중요 금융가이긴 했지만 오늘날의 전세계를 좌지우지하는 핵심 금융가로 부상한 것은 1차대전 이후이다. 이후 1920년대의 미친 활황과 함께 세계 금융의 중심이 런던의 '더 시티'(시티 오브 런던)로부터 이 곳으로 옮겨왔다. 1930년대 대공황과 1970년대 스태그플래이션, 2000년대 후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등을 겪기도 했지만 그 세계적 위상에 흔들림은 없고 앞으로도 당분간은 없을 예정이다.

월가의 어원은 wal(성벽)을 의미하는 네덜란드어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맨해튼이 그렇듯이 원래 이곳은 네덜란드의 땅 '뉴 암스테르담'으로, 아메리카 원주민과 영국인(영란전쟁)을 막기 위한 긴 목책(성벽)을 세웠던 것이 '벽(Wall, 월)'이라는 이름의 어원이 되었다. 1640년대부터 1650년대까지 세워진 이 방책은 영국이 1699년 철거하였다. 이후에 평범한 땅에 불과했던 월가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중반 사이에 뉴욕증권거래소 등이 세워지면서 금융가가 되었다.

 

거의 전세계의 자금이 이쪽으로 유입되며 돌고 돌아 전 세계로 퍼진다. 덕분에 여기서 어떤 악재가 터졌다 하면 그날 다른 나라의 주식시장도 같이 쓰러진다. 예를 들어 미국이 쓰러지면 일본도 쓰러지고 두 나라가 쓰러졌으니 한국도 같이 쓰러진다.(이런식)

 

대공황 때도 그랬지만 2008년 세계금융위기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전세계 경제를 작살낸 근본지이기도 하다. 결국 2011년에는 월가 점령 시위가 일어났다.

 

기타

월 스트리트 23번가에는 1914년에 지어진 JP 모건의 본사 건물이 있었는데, 1920년 9월 16일에 이 건물 앞에서 폭탄 테러가 일어나 38명의 사망자와 148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적이 있다. 근처의 편지함에서 경고장이 발견되었는데 다음과 같이 써 있었다. "기억하라, 우리는 더 이상 좌시하지 않는다. 정치범들을 풀어주지 않으면 너희 모두는 죽을 것이다.

 

- 미국인 무정부주의자 전사들(American Anarchists Fighters)." 범인은 끝내 발견되지 않았고 1940년 FBI는 수사를 종결했다.

사실 이 시기는 사회주의적인 운동이 태동하던 시기로써, 미국에서는 노동자를 가혹하게 부리는 자본가들에 대항하여 살인도 고려하는 수준의 무정부주의자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엘리트 지배 계급의 학살이 인간의 평등과 기회라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자들을 위협으로 생각한 미국은 1918년에 "선동법"(Sedition Act)을 제정하여 정부를 비판하는 자들을 잡아들이기 시작했고, 무정부주의자들은 이에 대항해 국회의원 등을 상대로 폭탄 테러를 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이 테러도 이 것의 연장선상일 가능성이 높다.

 

선동법 역시 제정 당시부터 비판을 많이 받았었고, 결국 1920년에 폐기된다. 어떻게 보면 2011년의 월가 점령 시위는 이러한 흐름의 연장선상에 있는 매우 온건한 항의인 셈.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와 버니 샌더스 양쪽 모두가 월가 성향과는 다른 인물이어서 월가는 궁지에 몰리고, 월가에 우호적인 힐러리 클린턴에게 월가에서 선거지원을 했으나 결국 월가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포장된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트럼프는 지지자들이 기대하는 것과 다르게 이런 식으로 순식간에 태도를 바꾸게 되었다.

 

사실 트럼프는 월가와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없는 인물이다. 어찌보면 너무 뻔히 보이는 거짓말이었던 것이 이 지역의 랜드마크인 40 월 스트리트를 소유한 사람이 트럼프다... 미국 재계에서 오랫동안 몸을 담근 사람들이 월가와 거리를 둔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무엇보다 월가는 세계 금융의 중심으로 미국의 밥줄의 일부일 뿐만 아니라 미국의 영향력 그 자체이기도 해 여기를 함부로 손을 봤다가는 공화당이나 민주당이나 좋을 게 없다.

 

민주당도 2008년 금융위기가 일어난 후에야 월가를 포함한 미국 금융시스템을 송두리째 바꾼 도드-프랭크 금융개혁법을 통과시킬 수 있었을 정도로 월가와 관련된 법을 수정하거나 규제를 추가하는 것은 상당히 힘들다. 공화당에서는 개혁법 폐지를 지속적으로 추진했고, 일부 조항은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되자 폐지하는 데 성공했다.

 

황소상

charging bull

월가의 랜드마크 중 하나로 '돌진하는 황소(Charging Bull)' 동상이 있다. 주식시장에서 황소는 주가의 활황을 의미한다고. 참고로 영어 단어에서 'Bull market'이 상승세라는 뜻이며,

 

이는 황소가 뿔을 밑에서 위로 확 들어올리는 것이 가격이 상승하는 것과 비슷하다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황소상의 뿔과 고환은 만지면 큰 부를 얻는다는 속설이 있어서 사람들이 하도 만져서 반질반질하게 빛난다.

 

-출처: 나무위키-

728x90

댓글